1. 치매는 뇌에 생기는 병
치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사람의 마음이 존재하는 곳은 뇌(腦)
사람이 생각을 하고 행동을 하는 것은 뇌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고나 뇌졸중으로
뇌가 손상되면 제대로 생각하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뇌는 대뇌와 소뇌, 중뇌, 연
수 등 여러 부위로 구성되는데, 그중에서 특히 생각과 행동에 관련된 곳은 대뇌 부분이다(그림
1.1.1). 대뇌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위별로 기능이 조금씩 다르다.
① 전두엽(푸른색):뇌의 앞쪽 부분. 생각과 판단, 의욕, 참을성, 언어 표현능력(말하기, 쓰기).
신체운동 능력.
② 측두엽(초록색):뇌의 옆쪽 부분. 기억력. 언어 이해능력(듣기, 읽기).
③ 후두엽(분홍색):뇌의 뒤쪽 부분. 사물을 보고 인식하는 능력.
④ 두정엽(노란색):뇌의 위쪽 부분. 시공간 이해능력. 신체감각 능력.
2) 인지기능이란 무엇인가?
인지기능은 인간이 외부 세계의 정보를 이해하고 판단하여 행동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기능을
말한다. 인지기능은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중 치매대상자와 관련된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 기억력 : 최근에 있었던 일이나 과거부터 알던 사실을 기억하고 회상해 내는 능력
② 언어능력 :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본인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
③ 시공간능력 : 거리 및 방향을 인식하거나 입체적인 공간을 이해하는 능력
④ 실행기능 : 어떤 일을 처리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순서로 하는 것이 좋을지 계획하고
실제로 수행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⑤ 주의집중력 : 외부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능력
⑥ 지남력 : 지금 날짜와 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아는 능력(시간 지남력)
2. 치매란 무엇인가?
1) 치매의 정의
위에서 설명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치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
을 해 오던 사람에게 후천적인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인지기능의 장애
가 나타나 일상생활을 혼자 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2) 치매와 일상생활능력 장애
치매대상자는 인지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일상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일상적인
생활이란 돈을 벌기 위한 직업 활동, 다른 사람과 모임을 가지고 어울리는 사회활동, 집안일을 챙
기고 가사를 하는 등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상식적인 수준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의미 있는 활동을
말한다.
3) 치매는 하나의 질환이 아닌 증후군
치매는 한 가지 원인으로 설명되는 단일 질환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후
군(syndrome)이다. 이러한 치매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알츠하
이머병과 혈관성치매이며 전체 치매 중 90% 정도를 차지한다. 그 밖에 드문 치매로는 루이소체치
매, 전두측두엽치매 등이 있다.
4) 치매와 정신행동증상
치매의 정신행동증상은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비현실적인 생각, 조절되지 않는 감정, 공격성, 불면증
상, 배회증상, 그 밖의 부적절한 여러 정신증상과 행동증상들을 말한다. 정신행동증상은 인지기능 저
하에 의한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때로는 인지기능 저하와 무관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정신행동증상은 치매대상자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치매대상자를 돌볼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정신행동증상에 대처하는 부분인 만큼 정신행동증상들의 특징들을 잘 숙지하고 적절한 대처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치매 클래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단계별 증상-초기 단계, 중기, 말기 (0) | 2023.06.27 |
---|---|
노인성질환 중 치매에 관한 연구 (0) | 2023.06.27 |
치매의 이해와 간호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0) | 2023.06.26 |
치매의 종류와 알츠하이머병의 개념과 특징 (0) | 2023.06.25 |
치매대상자를 대할 때 꼭 기억해야 할 점과 치매의 증상 (0) | 2023.06.25 |